산업안전일반 3

사건수 분석(Event tree analysis, ETA) 기법, 원인결과분석(CCA)기법

사건수 분석(Event tree analysis, ETA) 기법 KOSHA GUIDE P - 87 – 2021 사건수 분석 기법에 관한 기술지침 초기사건으로 알려진 특정한 장치의 이상이나 운전자의 실수로부터 발생되는 잠재적인 사고 결과를 평가하는 정량적리스크 평가 기법.어떤 기능이 고장 또는 실패할 경우 그 이후 다른 부분에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 지를 분석하는 귀납적 방법이다. 사건수의 작성방법사건수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며, 초기사건은 왼쪽의 중간 부분에 먼저 쓴다. 연결라인은 초기사건으로부터 첫번째 안전기능으로 그려 나간다. 이때 안전기능은 가동될 수 있거나 고장날 수 있다. 안전기능이 가동하는 작업은 윗쪽에, 안전기능이 가동하지 않는 작업은 아랫쪽에 그린다. 수평으로 연결된 선들은 이들 두 상태로..

산업안전일반 2025.05.01

신뢰성 블록도(Reliabilty Block Diagram. RBD)의 신뢰도, FTA의 minimal cut set

고장 확률 계산 직렬계, OR GATEF(A) = F (B or C) = F (B ∪ C) = F(B) + F(C) – F(B) * F(C) 병렬계, AND GateF(A) = F (B and C) = F (B ∩ C) = F(B) * F(C) 1) 직렬시스템 : 하나만이라도 고장나면 전체 시스템이 고장.2) or gate : 한 개 이상의 입력사상[사고나 결과]이 발생하면 출력사상[사고나 결과]이 발생하는 논리게이트. → 한 개 이상의 고장이 발생하면 시스템의 고장이 발생. 즉, 직렬회로와 or gate는 신뢰성 분석측면에서 개념적 유사성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병렬회로와 and gate도 마찬가지이다. 신뢰성 블록도(Reliabilty Block Diagram. RBD)의 신뢰도, 고장확률 구분..

산업안전일반 2025.04.09

논리연산(logical operation, logical connective)

논리연산 자료출처 : 나무위키 논리연산 1. 개요19세기 중반 영국의 수학자 조지 불(George Boole)이 고안하고 형식화한 대수 체계를 의미한다. 고안자의 이름을 따 불 대수(Boolean algebra)라고도 한다. 상태값은 편의상 {0, 1} 을 사용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False, True} 또는 {F, T} 를 쓰기도 한다.0 = False (F) 1 = True (T) 2. 논리합두 명제 중 어느 한 명제만 참이어도 참값을 돌려준다. 1+1=1임을 주목.ABA + B비 고000 011두 명제 중 한 명제만 참이어도 참101“111두 값이 모두 참이면 참 “1+A=1” A=0이라면, 1+A=1A=1이라면, 1+A=1+1=1결국, A값에 관계없이 1이 된다.비유적 설명) 두..

산업안전일반 202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