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법령

서류의 보존

산업안전지도사 1차 대비 2025. 4. 9. 19:00

서류의 보존

법 제164(서류의 보존)

사업주는 다음 각 호의 서류를 3(2호의 경우 2년을 말한다) 동안 보존하여야 한다. 다만,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보존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1.  안전보건관리책임자ㆍ안전관리자ㆍ보건관리자ㆍ안전보건관리담당자 및 산업보건의의 선임에 관한 서류

2.  24(산업안전보건위원회) 3항 및 제75(안전 및 보건에 관한 협의체 등의 구성ㆍ운영에 관한 특례) 4항에 따른 회의록

3.  안전조치 및 보건조치에 관한 사항으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적은 서류

4.  57조제2항에 따른 산업재해의 발생 원인 등 기록

5.  108조제1항 본문 및 제109조제1항에 따른 화학물질의 유해성ㆍ위험성 조사에 관한 서류

법 제164(서류의 보존) 규칙 제241(서류의 보존)
7. 129조부터 제131조까지의 규정에 따른 건강진단에 관한 서류 ② 법 제164조제1항 단서에 따라 사업주는 제209조제3항에 따라 송부 받은 건강진단 결과표 및 법 제133조 단서에 따라 근로자가 제출한 건강진단 결과를 증명하는 서류(이들 자료가 전산입력된 경우에는 그 전산입력된 자료를 말한다)5년간 보존해야 한다. 다만,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물질을 취급하는 근로자에 대한 건강진단 결과의 서류 또는 전산입력 자료는 30년간 보존해야 한다.
6. 125조에 따른 작업환경측정에 관한 서류 법 제164조제1항 단서에 따라 제188조에 따른 작업환경측정 결과를 기록한 서류는 보존(전자적 방법으로 하는 보존을 포함한다)기간을 5년으로 한다.
작업환경측정기관은 작업환경측정에 관한 사항으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적은 서류를 3년 동안 보존하여야 한다. ④ 법 제164조제4항에서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이란 다음 각 호를 말한다.
1. 측정 대상 사업장의 명칭 및 소재지
2. 측정 연월일
3. 측정을 한 사람의 성명
4. 측정방법 및 측정 결과
5. 기기를 사용하여 분석한 경우에는 분석자ㆍ분석방법 및 분석자료 등 분석과 관련된 사항
안전인증 또는 안전검사의 업무를 위탁받은 안전인증기관 또는 안전검사기관은 안전인증ㆍ안전검사에 관한 사항으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서류를 3년 동안 보존하여야 하고, 안전인증을 받은 자는 제84조제5항에 따라 안전인증대상기계등에 대하여 기록한 서류를 3년 동안 보존하여야 하며,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을 제조하거나 수입하는 자는 자율안전기준에 맞는 것임을 증명하는 서류를 2년 동안 보존하여야 하고, 98조제1항에 따라 자율안전검사를 받은 자는 자율검사프로그램에 따라 실시한 검사 결과에 대한 서류를 2년 동안 보존하여야 한다. ③ 법 제164조제2항에서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서류란 다음 각 호의 서류를 말한다.
1. 108조제1항에 따른 안전인증 신청서(첨부서류를 포함한다) 및 제110조에 따른 심사와 관련하여 인증기관이 작성한 서류
2. 124조에 따른 안전검사 신청서 및 검사와 관련하여 안전검사기관이 작성한 서류
일반석면조사를 한 건축물ㆍ설비소유주등은 그 결과에 관한 서류를 그 건축물이나 설비에 대한 해체ㆍ제거작업이 종료될 때까지 보존하여야 하고, 기관석면조사를 한 건축물ㆍ설비소유주등과 석면조사기관은 그 결과에 관한 서류를 3년 동안 보존하여야 한다.  
석면해체ㆍ제거업자는122조제3항에 따른 석면해체ㆍ제거작업에 관한 서류 중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서류를 30 동안 보존하여야 한다. ⑥ 법 제164조제6항에서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이란 다음 각 호를 말한다.
1. 석면해체ㆍ제거작업장의 명칭 및 소재지
2. 석면해체ㆍ제거작업 근로자의 인적사항(성명, 생년월일 등을 말한다)
3. 작업의 내용 및 작업기간
⑤ 지도사는 그 업무에 관한 사항으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적은 서류를 5 동안 보존하여야 한다. ⑤ 법 제164조제5항에서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이란 다음 각 호를 말한다.
1. 의뢰자의 성명(법인인 경우에는 그 명칭을 말한다) 및 주소
2. 의뢰를 받은 연월일
3. 실시항목
4. 의뢰자로부터 받은 보수액
⑦ 제1항부터 제6항까지의 경우 전산입력자료가 있을 때에는 그 서류를 대신하여 전산입력자료를 보존할 수 있다.  

 

 

연습문제

 

세 문제 풀이보기 예시

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서류의 보존기간이 3년인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산업보건의의 선임에 관한 서류
ㄴ. 산업재해의 발생 원인 등 기록
ㄷ.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회의록
ㄹ. 신규화학물질의 유해성ㆍ위험성 조사에 관한 서류

 

,

,

, ,

, ,

, , ,

 

풀이) 정답 ③.

(‘25.06) 164(서류의 보존)

 

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보존해야 할 서류의 보존기간이 2년인 것은?

노사협의체의 회의록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선임에 관한 서류

화학물질의 유해성ㆍ위험성 조사에 관한 서류

산업재해의 발생 원인 등 기록

작업환경측정에 관한 서류

 

풀이) 정답 ①.

(‘25.06) 164(서류의 보존)

나머지는 서류의 보존기간 : 3

 

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서류의 보존기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기관석면조사를 한 건축물이나 설비의 소유주 등과 석면조사기관은 그 결과에 관한 서류를 5년간 보존하여야 한다.

지정측정기관은 작업환경측정에 관한 사항으로서 측정대상 사업장의 명칭 및 소재지 등을 기재한 서류를 3년간 보존하여야 한다.

사업주는 노사협의체 회의록을 2년간 보존하여야 한다.

자율안전확인대상 기계ㆍ기구 등을 제조하거나 수입하려는 자는 자율안전기준에 맞는 것임을 증명하는 서류를 2년간 보존하여야 한다.

사업주는 화학물질의 유해성ㆍ위험성 조사에 관한 서류를 3년간 보존하여야 한다.

 

풀이) 정답 ①.

번호 (문제의 조건) (풀이)
기관석면조사를 한 건축물이나 설비의 소유주 등과 석면조사기관은 그 결과에 관한 서류를 5년간 보존하여야 한다. (‘25.06) 164(서류의 보존)
③ 일반석면조사를 한 건축물ㆍ설비소유주등은 그 결과에 관한 서류를 그 건축물이나 설비에 대한 해체ㆍ제거작업이 종료될 때까지 보존하여야 하고, 기관석면조사를 한 건축물ㆍ설비소유주등과 석면조사기관은 그 결과에 관한 서류를 3년 동안 보존하여야 한다.